라벨이 티스토리 사태인 게시물 표시

카카오 티스토리가 #오블완챌린지 를 시작한 민망하고도 결정적인 이유

이미지
얼마 전, 블로거들에게 카카오 티스토리는 대대적인 이벤트를 시작했다. 21일 동안 매일 포스팅을 하게끔 하는 <오블완챌린지>가 그것이다. 과연 어느날 갑자기 이런 운동을 시작한 이유는 뭘까? 어느 유튜버의 말처럼 '망하기 전, 최후의 발악'일까? 아니면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축제'일까?과연 그 효과는 얼마만큼일까?  #오블완챌린지 가 뭔데? 티스토리에서는 작심삼주 오블완챌린지를 시작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2024년 11월 7일부터 11월 27일까지 3주 동안 매일 블로그를 포스팅하면 준비한 상품을 추첨하여 증정한다는 광고를 냈다.  21일 동안 하루 1개, 매일 포스팅을 성공하면 3일 이상이면 맥도날드 빅맥 세트, 7일 이상이면 교촌치킨 교환권, 14일 이상이면 100명에게 10만 원 상품권을 지급한다. 특히 21일을 완주한 사람들에게는 추첨을 통해 8명은 스마트모니터 M7 8명, 애플워치10 4명, 아이폰 16pro 1명에게 지급한다.  티스토리에도 계정을 갖고 있는 필자도 반가운 소식에 오랫동안 묵혀두었던 티스토리 계정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 사실 카카오의 이런 이벤트가 처음이었기에 내심 반갑기도 했지만, 저 안에 깔려 있는 진짜 의도가 무엇일지 여러 의견들이 나뉘고 있다.  첫째, 티스토리의 '망하기 직전 발악'이다? 2023년 티스토리가 블로거들이 작성한 글의 최상단(가장 수익이 높은 자리)에 강제로 광고를 때려 넣어 블로거들의 수익을 갈취하는 일이 벌어진다.  이때 고수익 블로거들의 엄청난 반발을 샀고, 그로인해 수많은 고인물 티스토리 블로거들이 탈퇴하고 워드프레스 & 블로그스팟으로 건너간다.  그래서 티스토리를 여전히 하고 있는 블로거들은 완전 초짜거나, 수익을 조금이나마 올리고 있지만 그 수익이 아까워 도저히 떠나지 못한 블로거들로 채워져 있었다. 그러니까, 티스토리도 그런 고수익 블로거들이 빠지면서 수익과 트래픽이 엄청나게 줄었을 것으로 예상한다. 그 당시만 해도 티스토...

[직장인 부업] 티스토리보다 워드프레스로 글쓰기 해야하는 3가지 이유

이미지
초보 블로거가 티스토리에서 워드프레스로 갈아탈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뭘까요? 그리고 워드프레스로 옮긴 후, 장점과 불편한 점에 대해서도 함께 말씀드려봅니다. 지금 블로거로 애드센스 수익을 올리고 싶은 분이라면 참고하세요. 1. 티스토리 사태 제가 티스토리를 시작하고 애드센스 승인을 받은 지 채 한 달도 안돼서 티스토리 자체 광고 를 시작했습니다. 6월 27일 오전 11시에 시작된 티스토리 자체광고는 제 애드센스 계정에 심각한 타격을 미쳤습니다.  저는 특별한 정책위반을 하지도 않았는데, 티스토리 자체 광고를 실시한 후, 1일-2일 사이에 정책 위반 메일을 받게 되었습니다. 제 티스토리 애드센스 계정에 광고 게재 제한 메일 을 구글로부터 받게 되었고 그 뒤로 약 한 달 가까이 광고가 달리지 않은 채 방치되었습니다. (계속 포스팅은 했습니다.) 2. 티스토리 현재 스코어 계속해서 광고 게재 제한 때도 꾸준히 글을 썼고 그 뒤로 구글의 광고 게재 제한 조치는 해제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애드센스 광고를 달고 수익을 낸, 첫 달만큼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광고 게재 제한 후, 다음 달은 애드센스 수입이 1/4로 줄었고 현재는 대략 1/10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 에 이르렀습니다. 너무 힘이 빠지고 사기가 떨어졌습니다. 당연히 글도 쓰기 싫어졌죠. 무료로 블로그를 제공하는 카카오 플랫폼에 얹혀서 글을 쓰는 입장이라고 해도, 일방적인 카카오의  티스토리 자체 광고 만행은 절대적인 불공정거래 라는 것입니다.  당장 떠나야겠다고 마음 먹었고 실행에 옮겼습니다. 써놓은 글들이 너무 아까워서 똥값으로 떨어진 애드센스 수익을 포기하고 삭제하고 싶었지만, 유지는 한 채, 워드프레스를 드디어 개설했습니다. 3. 워드프레스의 장점 도메인 구입, html, 호스팅 선택 등등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로 편하게 글쓰기하던 쌩초보 블로거에게 워드프레스는 넘기 힘든 엄청난 산 같았고 두려웠지만, 그럼에도 유튜브 참고하고 서버 삭제하고 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