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bing) 웹마스터 도구에서 내 블로그 SEO 보고서 확인하는 방법 | 빙 100% 활용하기

빙(bing)은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만든 검색엔진으로 구글과 경쟁하며 뛰어난 검색성능을 자랑하는 웹 사이트입니다. 그중 빙(bing) 웹마스터도구는 'SEO 보고서'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빙(bing)에서 제공하는 SEO보고서 활용법을 알아볼게요.


1. 빙(bing) 사이트 추가하기

빙(bing)의 웹사이트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글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그 후, 자신의 사이트를 빙 사이트 추가하기에 넣어주면 되는데요. 구글 서치콘솔보다 훨씬 간단한 방법으로 사이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빙-사이트-등록하는방법-화면캡처


블로그나 사이트를 운영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빙(bing) 웹마스터 도구에 가입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굉장히 다양한 기능들을 무료로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내 블로그의 특정 URL을 색인요청하거나 사이트맵 상태를 파악하기, 크롤링 제어와 URL 차단하는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SEO 보고서

빙(bing)에서 제공하는 여러가지 기능들 중에서 가장 유용한 기능을 꼽자면 바로 'SEO 보고서' 기능입니다. 이 SEO 보고서는 내 블로그 포스팅들을 분석하고 SEO에 맞지 않는 요소들을 파악해 나에게 심각도가 높은 순서대로 제공합니다. 


빙(bing) 'SEO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내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빙-SEO보고서-캡처화면

  • 메타태그(검색 설명) 길이
메타테그(검색 설명)가 너무 길면 검색자가 포스팅의 일부 텍스트를 보지 못해서 어떤 글인지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이며 매타테그가 너무 짧은 경우에는 검색 엔진이 페이지의 엉뚱한 곳에서 찾은 텍스트를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140~150자 내에서 메타태그(검색 설명)을 작성해야 합니다. 




  • <h1> 태그 복수 존재
<h1>은 포스팅에서 제목을 의미합니다. <h2>는 부제목 <h3>은 소제목에 해당합니다. <h2>나 <h3>은 복수가 존재해도 상관없지만, <h1>은 반드시 1개만 존재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할 경우, 검색 엔진과 사이트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SEO의 측면에서 좋지 못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 이미지 ALT속성
블로그에 내에 사용된 이미지에는 반드시 ALT속성을 기록해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갯수의 이미지를 삽입하다보면 ALT속성을 모두 기록하지 못할 때가 많은데요. 

ALT 속성은 사이트 소유자가 검색 엔진과 사용자에게 이미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때때로 이미지가 비 활성화 되었을 경우, 유용하게 글로써 이미지를 대신 나타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정확하게 이미지를 표현하고 설명해주는 ALT태그를 사용했을 경우, SEO 적으로 좋은 포스팅이 될 확률이 큽니다. 



빙(bing) 100% 활용하기

블로그에 더 많은 유입을 원한다면 반드시 구글 검색을 노려야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구글 검색엔진이 좋은 글이라고 평가해야 하고요. 

구글 검색엔진에 좋은 평가를 받는 글을 쓰기 위해 우리는 SEO에 맞춰 포스팅을 작성하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매일 발행하는 우리의 포스팅을 일일이 SEO에 맞게 작성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죠. 

그래서 우리는 빙(bing) 웹마스터 도구를 잘 활용해야 합니다. 이 사이트는 우리의 블로그 포스팅을 더 많이 노출되도록 도와주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역할을 해줄 것입니다. 적극 활용하세요~
드래곤S

여행하며 돈 버는 디지털노마드

다음 이전